건축시공학 정리_철근콘크리트공사1
* 철근
1, 종류: 배근용철근, 조립용철근, 온도철근
2. 공작도: 간격, 피복두께, 이음길이, 이음위치, 정착, 고임대, 간격재 위치
3. 가공
- 절단
- 구부림: 벤트(중간부, 배근 위치 변경하기 위함), 후크(단부, 부착력 키우기 위함)
* HOOK를 설치하는 경우
1. 원형철근 단부
2. 이형철근의 경우
- 기둥, 보 주근
- 기둥 띠철근
- 보 스트럽
- 굴뚝 철근
- 기타(도면에서 지정하는 곳)
* 철근의 정착 위치
- 슬래브: 보, 벽체
- 보: 기둥, 보
- 벽: 기둥, 슬래브, 인접벽
- 기둥: 기초
* 철근 이음
1. 주의사항
- 인장력 작은 곳
- 한 곳에 1/2 이상 금지
- 상호 엇갈리게 이음
2. 종류
- 직접이음: 압접
- 간접이음: 결속선 이음
- 기계적이음: 슬리브, 강관압착, 나사식 이음 등
* 가스압접
- 철근을 조립하기 전에 압접
- 지름이나 종류가 같은 것 압접
- 용접 돌출부 직경은 원칙적으로 철근 직경의 1.5배 이상
- 철근 중심축의 어긋남은 철근 직경의 1/5 이하
* 가스압접 금지
- 철근 지름 차 6mm 이상
- 철근 재질 다른 경우
- 항복점, 강도 다른 경우
* 최소 피복두께
- 피복두께 목적: 내화성, 내구성, 시공성
1. 옥외의 공기나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
- 셸, 철판: 20mm
- 슬래브, 벽체, 장선(D35 이하): 20mm
- 슬래브, 벽체, 장선(D35 초과): 40mm
- 보, 기둥: 40mm
2. 흙에 접하거나 옥외의 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콘크리트
- D16이하 철근: 40mm
- D25이하 철근: 50mm
- D29이하 철근: 60mm
3. 흙에 접하여 타설하고 영구히 흙에 묻힌 콘크리트: 80mm
4. 수중에 타설하는 콘크리트: 100mm
* 피복두께(콘크리트 표면에서 철근 외면까지의 길이)
- 기둥: 띠철근 외면까지의 길이
- 보: 스트럽 외면까지의 길이
* 거푸집
1. 거푸집 부속재료
- 세퍼레이터: 거푸집 간격이 오므라드는 것 방지
- 폼 타이: 거푸집이 벌어지는 것 방지
- 스페이서: 피복두께 및 철근 간격 유지
- 박리제: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이 표면으로부터 잘 떨어지도록 거푸집 표면에 바르는 재료
2. 방청법
- 피복두께 증가
- 물시멘트비 저감
- 아연도금 철근
- 방청페인트
- 구조체, 마감재의 수밀성 증가
3. 거푸집 설계시 고려하중
- 수평거푸집(보, 슬래브 밑): 생콘크리트 중량, 작업하중, 충격하중
- 수직거푸집(벽, 기둥, 보 측면): 생콘크리트 중량, 측압
4. 거푸집 측압 증가
- 단면 클수록, 거푸집 강성 클수록, 타설속도 빠를수록, 시공연도 좋을수록, 다짐 좋을수록
- 온도 낮을수록, 철근량 적을수록, 경화속도 느릴수록
5. 거푸집 존치기간
- 수직거푸집: 압축강도 5MPa 이상
기온이 10도 이상인 경우(2 3 4, 3 4 6)
- 수평 거푸집
단층: 압충강도 14MPa 이상, 설계기준강도 2/3 이상
다층: 설계기준강도 이상
6. 거푸집 조립순서
- 기초-기둥-벽-계단-보-바닥
- 기초-기둥-내벽-계단-보-바닥-외벽
7. 거푸집 종류
- 벽 전용: 대형패널, 갱폼, 셔터링폼
- 바닥 전용: 테이블폼, 플라잉폼
- 벽, 바닥 전용: 터널거푸집
- 이동식 거푸집: 슬라이딩(수직), 트레블링(수평)
- 무지주공법: 보우빔, 페코빔
- 바닥판식 거푸집: 하프슬래브, 데크플레이트, 워플폼
* 시멘트 종류
- 포틀랜트 시멘트: 보통, 조강, 중용열, 백색
- 혼합 시멘트: 고로, 플라이애시, 포졸란(실리카)
- 특수 시멘트: 알루미나, 초조강, 제트
* 시멘트 성분
- 응결시간 빠른 순서: 알루민산 삼석회 - 규산 삼석회 - 규산 이석회 - 알루민산철 사석회
* 조기강도 빠른 순서
- 알루미나 시멘트
- 조강포틀랜트 시멘트
- 보통포틀랜트 시멘트
- 고로 시멘트
- 중용열 시멘트
* 시멘트 비중
- 비중 3.05~3.15 이상
- 비중은 풍화 유무의 판단 기준
- 비중이 작아지는 경우: 클링커 소성 불충분, 혼합물 섞여 있는 경우, 풍화한 경우, 저장기간 긴 경우
- 르 샤틀리에 비중병 이용
* 분말도 큰 경우
- 입자 작다.(동일 부피에 입자가 많은 경우)
- 응결 결화 빠르다.
- 품질 좋다.
- 풍화가 진행된 시멘트는 비중이 작아지고, 분말도가 떨어져, 물과의 수화반응이 늦어진다.
* 응결 및 경화
- 시멘트 성분, 종류, 분말도, 풍화 유무
- 물의양
- 온도, 습도, 양생조건
- 혼화재료
* 시멘트 시험 기구
- 비중시험: 르 샤틀리에 비중병
- 응결시험: 비커, 길모아 장치
- 분말도시험: 브레인치, 마노미터액
- 안정성시험: 오토클레이브 양생기
- 강도시험: 공시체
* 알루미나 시멘트
- 동절기, 해수공사, 긴급공사 적합
- 조기강도 크고 수화열 높다.
- 화학 저항성 크다.
- 수축 적고, 내와성 크다.
* 플라이 애쉬
- 콘크리트 워커빌리티 좋게, 사용수량 감소
- 초기강도 감소, 장기강도 증가
- 발열량 감소, 내부 온도 상승에 따른 균열 발생 억제
- 콘크리트 수밀성 개선
* 중용열 포틀랜트 시멘트
- 장기강도 발현 위해 규산이석회 양을 많이, 규산삼석회와 알루민산삼석회 양을 적게 한 시멘트
- 수화열이 보통 시멘트보다 작다.
- 조기강도 낮고, 장기강도는 같거나 약간 높다.
- 건조수축은 포틀랜트 시멘트 중 가장 적다.
- 화학저항성, 내식성, 내구성 크다.
* 균열 저감 대책
- 슬럼프 작게, 시멘트 사용량 적게, 발열량 적게, 온도 낮게
- 실적률 큰 골재, 입도가 큰 골재, 혼화재 사용
* 골재의 실적률
- 모래: 55~70%
- 자갈: 60~65%
- 쇄석, 경량: 50~65%
* 혼화재 종류
- 표면 활성제: 공기연행제(AE제), 분산제
- 성질 개량 및 증량재: 포졸란
- 응결경화 촉진제: 염화칼슘, 규산소다, 염화제2철, 염화마그네슘
- 방수제: 소석회, 암석의 분말, 규조백토, 규산백토, 명반, 수지비누
- 발포제: 알루미늄, 아연 분말
- 방동제: 염화칼슘, 소량의 식염
- 착색제: 제2산화철(빨강), 크롬산(노랑), 바륨(파랑), 산화크롬(초록), 이산화망간(갈색), 카본블랙(검정)
- 감수제: 혼화재 표준형, 지연형, 촉진형
- 유동화제
* 혼화재료 용도별 종류
- 워커빌리티, 동결융해 저항성 향상: AE제, AE감수제, 감수제(분산제), 고성능 감수제, 유동화제
- 응결경화시간 조절: 촉진제, 지연제, 급결제
- 방수: 방수제
- 거품의 작용으로 충진성 개선: 기포제, 발포제
* 공기량
- 엔트랩트 에어(자연적 함유공기)
- 엔트레인드 에어(인위적 함유공기)
- 공기량 1% 증가 시, 압축강도 4% 감소
- 공기량 증가: AE제 첨가, 비빔시간 3~5분까지 증가, 잔모래 사용시 증가, 온도 낮을수록, 진동 감소
- AE콘크리트 최적 공기량: 3~5%
* 포졸란 특징
- 워커빌리티, 수밀성, 해수 저항성, 화학 저항성 증가
- 블리딩, 재료분리, 발열량, 건조수축 감소
- 초기강도 감소, 장기강도 증가
* 콘크리트 유해물질
- 유기물: 내구성 저하, 균열 발생, 시공연도 저하
- 염기물: 중성화 촉진, 철근 부식, 균열 발생
- 당분: 응결 지연
- 진흙: 강도 저하, 부착력 저하
* 콘크리트 배합 순서
소요강도 결정 - 배합강도 결정 - 시멘트강도 결정 - 물시멘트비 결정 - 슬럼프치 결정 - 굵은골재 최대치수 결정 - 잔골재율 결정 - 단위수량 결정 - 배합비 결정
* 물시멘트비 결정 방법
- 강도, 내구성, 수밀성, 균열저항성
* 각종 시멘트 물시멘트비
- 단위시멘트량 최소값 270kg/㎥
- 43% 서머콘 콘크리트
- 50% 수중 콘크리트, 해수 콘크리트
- 55% 경량 콘크리트(60%), 제치장 콘크리트, 고강도 콘크리트, 수밀 콘크리트
- 60% 한중 콘크리트, 차폐 콘크리트
- 70% 조강 콘크리트
'[건축 자격증] > 건축기사_건축시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응력-변형률 곡선 (0) | 2019.06.17 |
---|---|
★건공모★ 건축시공 정리_철근콘크리트공사2 (0) | 2019.06.17 |
흙막이 계획 고려사항 (0) | 2019.06.15 |
철재 널말뚝 종류 (0) | 2019.06.15 |
흙의 휴식각 (0) | 2019.06.15 |
최근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