농어촌주택 슬레이트 철거에 따른 지붕개량 가이드라인
1. 개 요
□ 배경 및 목적
❍ 슬레이트 철거 후 지붕 개량시, 최소 30년 이상을 사용해야 하는 점을 감안하여, 경제적‧환경적 여건을 고려한 지붕 재료가 사용될 필요
- 재질, 성능, 주택경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지붕개량
❍ 농어촌주택 슬레이트 철거에 따른 지붕 개량시, 재료별 성능을 바르게 인식하고, 모양‧색상 등을 선택함에 있어 아름다운 농어촌 경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
2. 재료 선택시 유의사항
□ 성 능
❍ 무조건 저가의 재료를 선호하기 보다는, 열‧빛‧습도‧비‧눈 등에 따른 변화가 적은 것을 선택
- 특히, 충격에 의한 변형이나 성능저하, 오염물질로 인한 미관 손상이 적은 재료 선택
□ 색 상
❍ 지나치게 튀는 색상, 자연환경과 어울리지 않는 빨강‧파랑‧주홍 등 원색 선택은 자제
❍ 자연경관이 돋보일 수 있도록 따뜻한 중명도, 저채도의 갈색과 무채색
□ 재 질
❍ 정부규격인 ‘KS' 및 ’KC' 마크 등 인증을 획득한 제품 사용
❍ 과도하게 빛이 반사되거나, 광택이 있는 제품은 사용을 자제
4. 농어촌 경관을 고려한 형태 및 색채
□ 주택 형태 및 마을 경관과의 조화를 종합적으로 고려
❍ 한옥의 경우, 곡선으로 표현되는 지붕의 형태와 기와의 광택에 유의하고, 와당‧장식기와 등 각종 장식재 및 부자재 선택에 유의
❍ 한옥을 제외하곤, 단순한 형태의 불필요한 장식이 없는 경사지붕(박공, 모임지붕)으로 하되, 지붕 처마 길이는 60~70cm 이내
□ KS(한국산업규격) 색표집 상의 지붕 색채
❍ 색채 : 따뜻한 중명도‧저채도의 갈색과 무채색 계열 지향
- 명도 : 2~2.5, 채도 : 1~4 / 차양 설치시, 원색계열의 색채는 사용 자제
❍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에 의해 제작되어 2004년부터 배포된 ‘한국표준색표집’의 1519가지 표준색을 토대로, 농어촌 경관을 고려한 지붕색으로 적합한 18가지 색채 도출
* 농어촌 경관이미지 형성을 위한 환경색채 연구(농어촌연구원, ‘09~’10) 참고
'[건축직 실무] > ★건설현장 관련 문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건설기계대여대금 현장별 보증 브로슈어(국토교통부) (0) | 2020.03.03 |
---|---|
근로자 안전보건 확보를 위한 발주자의 안전보건관리 매뉴얼 (0) | 2020.02.26 |
개정 산업안전보건법 주요내용(2020.01.16.) (0) | 2020.02.26 |
신도시 (1기 신도시, 2기 신도시, 3기 신도시) (0) | 2019.11.19 |
2019년 새뜰마을사업 가이드라인 (0) | 2019.07.25 |
최근댓글